본문 바로가기
건강기능식품

임산부 비건 오메가3 효능과 제품 리스트

by 닥터 파이 2023. 5. 8.

비건을 지향하시는 분들에게 비건 오메가3는 좋은 대안책인 영양제입니다. 그러나 비건 오메가3는 비건인 사람뿐만 아니라, 비건이 아닌 사람들에게도 건강상으로 생선 추출 오메가3보다 더 좋다는 것을 알고 계시나요?

미세조류 추출 비건 오메가3의 장점

오늘은 비건 오메가3의 효능을 살펴보고, fish oil 오메가3와의 비교를 통해 비건 오메가3의 장점을 알아보겠습니다

  1. 비건 오메가3의 효능:
  • 심혈관 건강 개선: 비건 오메가3는 심장 건강을 촉진하는 혈관 확장과 혈액 순환 개선의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 인지 기능 향상: 비건 오메가3는 뇌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학습 능력기억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염증 완화: 비건 오메가3에는 염증을 완화시키는 작용이 있어 관절 건강호르몬 균형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2. 생선-추출(fish-oil) 오메가3의 단점:

  • 동물성 원료 사용: fish oil 오메가3는 어류에서 추출된 오메가3 지방산입니다. 동물성 원료 사용으로 인해 중금속 함유로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급격한 산성화: 생선 추출 오메가3는 자연적으로 높은 산도를 가지고 있으며, 급격한 산성화로 인해 소화 장애소화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냄새와 맛: 일부 fish oil 제품은 냄새와 맛이 강할 수 있어 섭취하기 불편할 수 있습니다.

연질 캡슐(soft gel capsule)

3. 연질 캡슐의 산패율:

  • 연질 캡슐은 내부 성분을 외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플라스틱 혹은 젤라틴으로 만들어진 캡슐입니다. 그러나 연질 캡슐은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서 산소, 습기, 빛, 열 등에 노출되면서 산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산패는 캡슐의 구조를 약화시키고 내부 성분이 외부로 노출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연질 캡슐의 산패율은 제조 과정에서 다양한 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제조업체는 산패율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완전히 제로로 줄이는 것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메가3 영양제를 선택할 때 연질 캡슐의 산패율을 고려해야 합니다.

경질 캡슐

  • 비건 오메가3 제품은 연질 캡슐 대신 비건 캡슐(경질 캡슐)로 포장되어 있는 제품이 있습니다. 비건 캡슐은 식물성 원료로 만들어져서 연질 캡슐과 비교했을 때 산패율이 낮을 수 있습니다. 이는 제품의 품질과 효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연질캡슐과 경질캡슐의 차이를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여기서 확인해보세요! 연질캡슐과 경질캡슐의 차이점과 장단점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비건이 아닌 사람들에게도 비건 오메가3의 많은 이점을 경험할 수 있으며, 건강한 삶을 추구하는 누구에게나 권장할 만한 선택입니다.

추천:

미국에서 TOP 7 비건 오메가3 제품을 선정하였는데(해당링크: The Best Vegan Omega 3 Supplements Without Fish Oil - The Good Trade), 그 중에서 연질캡슐인 것을 빼면 세 브랜드의 오메가3 가 있었습니다.

그 중, 임산부 및 여성에서 좋은 완벽한 오메가3 제품은 첫번째 제품으로, Needed Women's Omega3+ 였으며 하루 1000mg의 오메가3 섭취가 가능하고(DHA 800mg & EPA 200mg) 콜린, 루테인지아잔틴이 함유되어 있는 프리미엄 비건 경질캡슐 오메가3입니다.

 
 

가격이 미국 내에서 높은 편이었지만, 그만큼 오메가3 제품 체크리스트(성분/캡슐/함량)를 다 통과한 완벽한 제품이어서 임산부와 더불어 중년 여성에게도 몸에 염증 수치 올리지 않고 영양분만 소화 용이하게 챙겨줄 수 있는 제품이기에, 엄마와 같이 섭취하려고 합니다.

가격이 저렴하고 몸에 부담과 염증을 주는 오메가3말고 건강을 위해 섭취하는 것이면, 한 번 먹더라도 제대로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Reference List:

  1. Swanson D, Block R, Mousa SA. Omega-3 Fatty Acids EPA and DHA: Health Benefits Throughout Life. Adv Nutr. 2012 Jan;3(1):1-7. doi: 10.3945/an.111.000893.
  2. Geppert J, Kraft V, Demmelmair H, et al. Microalgal docosahexaenoic acid decreases plasma triacylglycerol in normolipidaemic vegetarians: a randomised trial. Br J Nutr. 2006 Dec;95(1):779-786. doi: 10.1079/BJN20051668.
  3. Rizzo AM, Montorfano G, Negroni M, et al. Comparison between the AA/EPA ratio in depressed and non-depressed elderly females: omega-3 fatty acid supplementation correlates with improved symptoms but does not change immunological parameters. Nutr J. 2012 Jul 20;11:82. doi: 10.1186/1475-2891-11-82.
  4. Harel Z, Biro FM, Kottenhahn RK, et al. Supplementation with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the management of dysmenorrhea in adolescents. Am J Obstet Gynecol. 1996 Oct;175(4 Pt 1):1256-1260. doi: 10.1016/s0002-9378(96)80030-x.
  5. Colombo ML. An overview of the plasticizer phenomenon: what, why and how. Food Res Int. 2010 Nov;43(9):2291-2299. doi: 10.1016/j.foodres.2010.07.016.
  6. Schophuizen CM, Wijers M, Grefte S, et al. The influence of storage conditions on the quality of omega-3 fatty acids in food products: A review. Crit Rev Food Sci Nutr. 2018;58(13):2181-2191. doi: 10.1080/10408398.2017.1325362.
  7. Ghosh S, Ghosh M, Gupta A, et al. Role of antioxidants in prevention of vitamin E loss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of foods: a review. Crit Rev Food Sci Nutr. 2015;55(7):1072-1091. doi: 10.1080/10408398.2012.749918.
  8. Strobel C, Jahreis G, Kuhnt K. Survey of n-3 and n-6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fish and fish products. Lipids Health Dis. 2012 Mar 29;11:144. doi: 10.1186/1476-511X-11-144.

댓글